보강압성토옹벽 공법

과거방식:절.성토지역의 옹벽은 콘크리트 제품으로 보강하는 방식

- 우리나라 국토의 70%가 산악지인 지형적 특성상, 절.성토 사면의 안정적인 처리가 필수이다.
- 최근 옹벽의 높이가 더욱 높아지면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성 문제가 부각되면서 보강토 옹벽이 시공되고 있으나,
- 전면판의 탈락, 부등침하로 인한 배부름, 균열발생 등 문제점으로 제기되기도 하고, 미관상 불안감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과거방식 절토부 보강방법
보강압성토옹벽 공법
신기술방식 : 안정적이며 벽면은 초, 목본 식물로 경관이 아름다운 것이 특징

최근들어 국토보존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른 질적인 요구가 확대 됨에 따라 자연환경을 최소하하고,
자연환경의 복원 등, 환경친화적인 토목구조물로 계획 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항구적인 사면으로서
기능을 갖는 자연친화적인 옹벽이 대안으로 활용되고 있다.
신기술방식 보강압성토옹벽 공법

- 전면부에 다양한 식물로 완벽한 녹화가 가능하므로 자연친화적인 식생보강옹벽 공법이다.
- 뒷채움재는 현장의 흙을 이용할 수 있고, 시공성이 양호하여 공사비가 저렴하다.
- 공사완료 후 벽면부 녹화가 완성되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 내적. 외적. 지진시 등 안정성 검토에 의해 설계되어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 옹벽 내부에 수평배수블록을 설치함으로서 지중수와 침투수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우천에 의한 배부름.균열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다.
보강압성토옹벽 공법
1. 기초콘크리트타설ㆍ잡석채움 다짐
1. 기초콘크리트타설ㆍ잡석채움 다짐
2. 보강재설치 (지오그리드.P.E.T MAT)
2. 보강재설치 (지오그리드.P.E.T MAT)
3. 격자 구조틀ㆍ식생시트설치
3. 격자 구조틀ㆍ식생시트설치
4. 수평배수블록 설치
4. 수평배수블록 설치
5. 성토 후 다짐
5. 성토 후 다짐
6. 보강압성토옹벽 완성
6. 보강압성토옹벽 완성
7. 식생토 취부
7. 식생토 취부
8. 시공완료 후 녹화상태
8. 시공완료 후 녹화상태
